오랜만에 친구들을 만났다. 나는 여태 교우관계에 그다지 집착하지 않고 살아왔다. 그래서 사회생활을 못하느냐 하면, 딱히 주변에 그런 인상을 주는 사람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굳이 분류하자면 내성적인 인간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조직 안에서 두루 원만하게 지내려 애쓰고, (늘 조금 긴장되긴 하지만) 새로운 사람과도 만나야 할 때는 좋은 인상을 남기려 애쓴다. 그렇다 해도 역시 사교적인 사람은 아니고, 깊은 우정을 인생 제일의 가치로 여기거나 인맥 관리가 성공의 척도라 믿는 부류도 아니다.
한동안 적(籍)을 두었던 곳을 떠나게 되면, 함께 잘 지내던 사람이라도 굳이 연락해서 만나거나 하지는 않는다. 누군가와 소원해지는 것에 그다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편이다. 외려 누군가 정도를 넘어서서 친밀감을 유지하려 들면 조금 귀찮아하는 쪽이다. 그러니 내가 먼저 연락해서 옛 친구나 지인들을 만나는 일은 아주 드물다. 그렇지만 누군가 보자는 연락이 오면 (관계를 끊어야지 작심한 사람들만 아니라면) 대부분 기꺼이 또 나가서 만나고, 그렇게 오랜만에 봐도 늘상 어울려왔던 것처럼 또 잘 어울리고 즐겁게 노닥거린다. 그런 식으로 종종 너무 자주는 아니게 만나면서 관계를 이어오는 사람들을 나는 그냥 친구라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이렇게 띄엄띄엄 만나도 그 친구에게 조사가 생기면(경사는 가끔 건너뛰긴 해도) 꼭 가는 관계. 그 정도가 딱 좋은데, 요즘은 인싸가 어디서나 각광받는 세상이 되어서, 가끔 좀 부담스럽긴 하다. 누가 내게 부담을 주지 않기를 바라는 만큼, 나는 가까운 사람에게라도 가급적 쓸데없는 부담을 주지 않으려 애쓰는데, 뭔가 동원력을 요구받는 일이 (요즘 들어 더더욱) 적지 않아서 그때마다 매번 곤혹스럽고 난감하다.
이런 나의 성정에도 불구하고, 관계의 끝을 튼실하게 이어오는 친구들이 양손 손가락 수에 조금 못 미칠 정도로 있는데(정말이지 그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 얼마 전에 그들 중 서로 아는 몇을 한꺼번에 만났다. 특별한 일은 없었는데, 누군가 한번 볼 때 되지 않았나, 이렇게 시작되어서 몇 차례 연락들이 오간 후 만나기로 정해졌다. 아직 결혼하지 않은 친구 하나가 집을 사서, 그 친구 집에 모였다. 맛있는 것도 먹고 새집 구경도 했다. 현재의 근황을 묻고 앞날의 계획에 대해서도 좀 들은 다음, 대부분 우리가 함께 했던 학창시절의 추억들을 안주 삼아 오래 수다를 떨었다. 여럿이 모이니, 아마 평생에 다시 만날 것 같지 않고 별로 그럴 기대도 품지 않는 옛 지인들의 근황을 자연스럽게 듣게 되는데, 약간의 거리를 두고 그때의 인연을 회상하고 그들의 지금에 대해 희미하게 소식을 듣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었다. 그답지 가깝지는 않았지만 알고는 지냈던 옛 지인의 죽음 소식을 뒤늦게 접하고 잠시 숙연해지기도 했다. 또 누군가 돈을 많이 벌어서 엄청나게 잘나간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현재는 나랑 별 직접적 연관이 없으므로) 별 감정적 동요나 배 아픈 사촌 없이, 잘됐네, 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는 점도 나쁘지 않았다.
한참 수다를 떨고 헤어졌는데, 나도 오랜만에 입을 좀 풀었더니(이 친구들과 만났을 때는 내가 내성적이라는 생각 자체가 기만이 아닌가 싶을 때도 종종 있다) 역시나 돌아오는 길에는 좀 피로했다. 그래도 역시 후회되지 않는 모임이었고, 다들 나이 들어서 조금은 변해버린 모습을 또 하나의 소소한 추억에 담은 것이 어떤 면에서는 좀 안도도 되었다(더 오랜만에 만나면 너무 변해버리거나 늙어버려서 서글플 수도 있으니까). 옛 친구들을 만난다는 것은 시간의 흐름을 가장 세심하게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어서 기분이 좋았다. 친구라는 건, 나처럼 꼭 나가 있어야 할 때 외에는 주로 집돌이로 지내는 사람에게는 문자 그대로 ‘기분 좋은 피로’를 안겨주는 존재들이다. ‘매일’이라거나 ‘정기적인 것’만 아니라면, 조금 더 자주 봐도 좋을 것 같았다.
'마음에 채집된 마구잡이의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와 함께 보낸 연말 (0) | 2020.01.06 |
---|---|
죽어가는 파리의, 생의 마지막 움직임 (0) | 2019.12.11 |